최근게시물  메일(espro365@naver.com)  웹하드  
ID PW 자동
HOME 소 개 보유수종 사업분야 프라스틱 게시판 수목장터 자료실 갤러리 고객센터
 
 
자료실
일목원 자료실
작업현황
작업진행도
작업현황  사고팔고
  
   작업진행도 
 
명칭 : 조형물 주변 경…
작업진행상태 : 98%
 
 
명칭 : [주] 씨엔플러스…
작업진행상태 : 100%
 
 
명칭 : 정암 이사장님 …
작업진행상태 : 100%
 
 
명칭 : 주택 소나무 정…
작업진행상태 : 100%
 
 
명칭 : 전촌리 황사장님…
작업진행상태 : 100%
 
espro365@naver.com
칭찬, 그것은 때로는 삶의 활력소가 되기도 하지만 때로는 추진력을 잃게도 만든다. -벤자민 프랭클린










































 
현재위치 : 자료실 일목원 자료실
 
   일목원 자료실
    제 목 : 10개의 테마공간 조성    
  글쓴이 : 일목원조경 날 짜 : 06-07-04 09:29 자료평가
Warning: Division by zero in /il610636/www/skin/board/total_bbs/view.skin.php on line 626

 
제 목 : 용인 수지 LG 빌리지- 십장생을 모티브로 10개의 테마공간 조성  [2005-05-04 11:46]
수지 엘지빌리지가 우리에게 특별한 이유 ?
광교산 끝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용인 수지 엘지빌리지는 61평부터 92평까지 총 1,164세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1997년 하반기에 설계를 시작하여 IMF 체제에 들어간 1998년도에 분양을 하고 2000년 12월에 준공을 한 아파트다. 이 아파트는 우리에게 있어서 특별히 중요했던 몇 가지 사항이 있다.
우선, 첫째로 이 단지는 이전까지 '아파트 조경' 하면 떠올리게 되는 식재 위주의 소극적인 조경에서 탈피하여 단지 계획초기부터 우리 조경가가 참여하여 넓은 오픈스페이스와 테마공원들을 조성하였다. 그 결과 외부환경의 질적 향상을 가져오게 하였고, '주거공간에서 외부환경의 설계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함께 했던 건축가나 도시 계획가에게 실증적으로 일깨워 준 계기가 되었다.
둘째, 당시 IMF라는 국내경제의 불황 속에서도 이 아파트가 분양에 대성공을 거둠으로써, 과거처럼 짓기만 하면 팔리던 시대에서 품질로 인정받는 본격적인 질 경쟁 시대로 전환되면서 우리 조경가의 역할이 비중 있게 인식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셋째로는 우리가 생활해온 아파트들이 원래부터 서구에서 비롯된 공간이기는 하지만 이 아파트의 외부공간에 전통적인 요소들을 도입하여 우리의 것을 찾으려고 노력했다는 것이다.
끝으로 실제 시공에 있어서 적용되는 다양한 조경 소재의 개발이 설계에 있어서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새삼 깨달았다는 점이다.

사업개요
● 대지면적 : 약 35,000평
● 세대수 : 1,164세대
● 조경면적 : 약 11,000평
● 조경공사비 : 약 50억원
● 준공일 : 2000년 12월
● LG건설 조경담당 : 강철현과장, 조영철 과장
● 조경설계사무소 : (주)그룹·한
● 조경공사 : 고려조경(대표이사 정타)


240억과 중앙공원
이 단지의 외부공간에서 가장 큰 특징은 중앙에 대규모 수경공간으로 이루어진 휴식 광장이 있다는 점이다. 실제 시공된 모습을 보면 우선 그 규모에서부터 압도당하는데 '과연 아파트 단지에 이렇게 넓은 공간이 어떻게 조성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을 갖는 사람이 많다. 물론 이 광장이 어느 날 갑자기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은 아니다. 처음 배치계획을 할 때 우리는 건축가와 함께 사업주에게 분양의 성공과 단지 외부환경 수준의 향상을 위하여 동 하나를 없애 줄 것을 요구하였다. 이 공간에 동 하나를 배치할 경우, 어림 잡아도 약 80세대 분양가를 계산해보면 최소 240억 원이 나온다. 기업의 이익만을 생각했다면 애시당초 존재할 수 없는 공간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다행히도 당시의 상황에서 누구도 분양 성공을 장담하지 못하였고, 외부환경의 차별화를 통하여 분양을 성공시켜보자는 의견이 수용되어 결국 아파트 동 하나의 공간이 쾌적한 공원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좋은 작품은 이렇듯 많은 사람들의 의지를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해주었다. 드넓은 중앙공원은 이렇게 해서 탄생할 수 있었다.

십장생과 불로문
우리는 이 아파트 단지의 주요 설계 모티브로 십장생을 도입하였다. 우리 전통 조경의 사상적 배경에는 음양오행사상, 풍수지리사상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우리는 도교사상과 무속사상이 결합된 십장생을 공간의 주요 모티브로 설정하여 10개의 테마공간을 조성하였다. 이것은 이 단지의 입주자들이 대부분 연령이 많은 사람들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장수와 건강에 대한 기원을 바탕으로 한 선택이었다.








▒ 중앙공원내 연못(Water Garden) ▒

물원 (중앙광장)
우리는 십장생 중에서도 생명의 근원인 물을 가장 중요한 공간인 중앙광장의 주요 개념으로 설정하였다.
물이 발원지에서 생성되어 계류를 따라 흐르고 연못에 고였다가 다시 폭포가 되어 떨어지는 순환 과정을 표현하고자 했는데 광장의 중앙으로부터 분수(솟구치는 물), 계류(흐르는 물), 캐스케이드(타고 흐르는 물), 반사 연못(잔잔한 물), 벽천(떨어지는 물) 의 순서로 물의 흐름을 만들었다.
중앙의 분수대 주변에는 고도차를 이용하여 스텐드를 만들어 주민들의 모임이나 행사를 위한 커뮤니티 공간으로 조성하였고 지하수를 끌어올려 약수터도 설치하였다.
주요 포장재와 가벽들은 포근하고 자연스런 멋을 내기 위하여 진주 청석과 점토벽돌을 사용하였다. 진주 청석은 이 단지의 주요 부위에 옹벽 대용으로 사용하였는데 80년대 진주성 복원공사 이후 그 생산이 중단되었다가 이 단지의 소재로 쓰기 위해 특별히 발굴한 것으로서 자연스럽게 정으로 쪼아서 쌓은 모습이 녹지와 잘 조화되고 오래될수록 옛스럽고 고풍스런 이미지를 주는 소재이다. 나는 진주에 가끔 들를 때마다 진주성에서 청석으로 쌓은 성곽을 보곤 그 멋스러움에 감탄하곤 했는데, 우여곡절은 많았지만 이 청석을 조경소재로 사용할 수 있어서 무엇보다 다행이었다. 전통 소재인 진주 청석과 전통적인 기법을 활용한 옹벽처리를 통해서 풍부한 녹지와 보다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창출할 수 있었다.
물이 마지막으로 흘러 떨어지는 벽천의 입면은 전통적인 기법의 전타일을 이용한 꽃담 문양과 도자기 타일에 구워 새긴 십장생도로 구성하였다. 이 벽천은 단지 입구에서부터 바라다 보이는 시각적 초점이 되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최대한 웅장하고 화려하게 조성 하고자 하였다. 애석하게도 우리는 이 벽천을 시공하는데 있어서 전통기법의 꽃담을 시공할 수 있는 사람이 우리 나라에 손에 꼽을 정도로 구하기 힘들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는데, 우리의 전통 장인들을 발굴하고 계승하는 것이 너무나 중요하다는 것을 새삼 깨달을 수 있었다.
물원의 주요 식재는 웅장한 스케일에 걸맞고 전통의 이미지에 어울리도록 풍요로움을 상징하는 소나무를 위주로 식재하였다. 또한 계절에 따른 변화를 주기 위해 다양한 화관목과 배롱나무등 꽃이 화려한 화목을 가미하였다.
   
(주)그룹한 박명권 소장 작성